공포와 신경 해부학
우리 몸은 위험을 인식 한 후 몇 초 내로 편도체에서 반응하기 시작합니다. 즉시 아드레날린과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몸을 가득 채우게 되지요. 불필요한 생리적 과정이 끄고 급작스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기능을 멈추고자 합니다. 소화 기능이 멈추고 폭발적인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시작합니다. 점차 호흡이 빨라지고, 심장이 뛰고, 혈압이 급등하여 신체에 산소를 주입하고 간이 연료를 위해 포도당을 방출합니다. 몸 전체가 갑자기 높은 경계 상태가되어 싸우거나 도피 할 준비가되었습니다.
해마 : 위협에 대한 대응을 장기 기억에 담습니다.
눈동자 : 확장되고 시각적 시상에 위험 신호 전달할 준비를 합니다.
타액 : 소화 시스템이 느려짐에 따라 감소합니다.
갑상선 그랜드 : 안정시 대사율 향상되나 긴장시 대사율은 떨어집니다.
폐 : 기관지 확장, 더 많은 산소 섭취하고자 합니다
머리카락 : 머리카락이 서는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간 : 글리코겐을 분해하기 시작하여 더 높은 신진대사 비율을 유지하기 위해 즉각적인 에너지를 얻습니다.
편도체 : 중추 및 자율 신경계가 모든 시스템 경보를 트리거하도록 지시합니다. 또한 위협의 기억을 저장합니다
시상 하부 : 행동을 준비하기 위해 장기, 방아쇠, 뇌하수체 및 신경계의 신호를 증가시킵니다.
뇌하수체 : 갑상선 호르몬과 부 신피질 자극 호르몬, 부신계를 작용시킵니다.
심장 : 혈압과 심박수 스파이크, 뇌와 근육에 준비된 연료를 주입합니다.
비장 : 신체적 상해에 대비하여 백혈구와 혈소판을 내보내는 수축시킵니다.
위 및 위장관 : 혈관이 수축하여 혈액을 근육으로 전환합니다.
방광 및 결장 : 폭력적인 행동과 부상 가능성에 대비하여 내용물을 비워 두고자 합니다.
부신 수질 : 아드레날린과 노르 아드레날린으로 혈류를 채워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이렇게 많은 신체기관은 우리를 공포로부터 빨리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게 됩니다.
현대인들은 불필요한 긴장상태를 지속 경험합니다. 거리에 수 많은 과속 카메라,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범칙금이나 부주의로 인한 손실이 생길 위험이 많습니다. 그런 환경에서 살아가는 우리 몸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 지에 대해서 한 번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의식적으로 한 번씩 우리를 지금 이곳에서 쉬게 이완시키고 고요함 안으로 들어가 쉴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과도하게 긴장하고 있었던 자신을 돌봐야 합니다. 그리고 내 몸이 어떤 상태인지, 오늘 하루를 내가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알아차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관심을 갖을 때 우리 몸은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모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