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갈등 상황에서 경청하며 듣기
우리가 대화 시 마음챙김의 방법을 적용한다는 것은 의도적으로 수용적이고 친절한 자각을 갖고 타인과의 대화에서 일어나는 말, 태도 등을 포함한 모든 상황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괄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이는 우리의 삶을 온전히 경청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와 타인과의 관계, 나와 세상과의 관계를 멋진 방식으로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한 교사는 우리가 주변인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그것이 누구이든 간에 가장 깊은 사랑의 표현이라고 했습니다. 그렇기에 마음챙김으로 경청하는 것은 가장 깊은 지능인 지혜와 가장 깊은 사랑인 수용으로 타인, 자신의 삶의 모든 상황에 반응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종종 육체적으로는 함께 존재하고 대화하지만 실제로 듣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니 어쩌면 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국제 청취협회는 누군가가 우리에게 말하는 시간의 75%를 우리는 정신이 산만해지거나 망각하고 있어 제대로 듣지 못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화의 50% 정도만을 기억한다고 하였습니다. 무엇이 우리가 대화에 집중하지 못하게 하는 것일까요?
이유는 두 가지 우리의 기본 습관으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하나는 자신이 원하는 것에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누군가가 우리에게 이야기를 하는 동안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우리의 말을 입증할 무엇가를 찾아 그들을 설득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듣습니다. 그러며 우리가 답할 내용을 계획하고 우리의 의견을 주장하는 방법을 생각하며 어떤 식으로든 대화의 주도권을 갖기 위해 그들의 말이 완료되기를 기다리며 듣습니다.
나머지 하나는 우리가 무언가를 원할 때, 우리가 진정으로 타인을 말을 들을 수 없을 때, 혹은 다른 의견이 있을 때 타인의 말에 강한 감정을 느끼게 되고 이는 마음챙김 듣기를 방해하게 됩니다.
우리는 타인의 불만이나 짜증, 평가나 무례한 태도로 인해 대화에서 산만해 질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경청하려는 마음이 없어지고 그와 연결되고자 하는 마음이 사라지게 됩니다.
마음챙김 연습과 마찬가지로 마음챙김 듣기에는 몇 가지 핵심 요소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의도입니다. 우리가 진정 타인의 말을 듣고자 한다면 의식적으로 주의 기울임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마음챙김 경청을 유지하는 두 번째 방법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닻을 갖는 것입니다.
아마도 우리 몸의 감각은 호흡일 것입니다. 몸을 중심으로 한 앵커는 우리가 자신의 생각이 떠오른 시기를 우리 감각을 통해 알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세 번째 열쇠는 상대의 말의 내용에 개방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친절한 마음가짐, 호기심을 갖는 것입니다.
시인 Mark Nivo는 우리가 기꺼이 들으려고 할 때 우리 몸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숙여진다고 했습니다.
마음챙김 수련 후 어떤 이는 자신의 회사 프로토콜과 지침에 대한 불만을 품은 동료의 말을 들을 때 마음챙김 듣기를 적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동료가 자신의 불만을 이야기 하기 시작했을 때 그는 숨을 깊게 쉬고 손과 발에 힘이 들어가는 긴장감을 느꼈습니다. 그 순간 그는 자신에게 호기심을 갖고 듣도록 속삭이며 자신을 코치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그는 안정감, 상대의 대화에 참여하기 시작했고 관심을 갖고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자 그가 하는 말을 넘어서는 무엇인가를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가 기여할 무언가가 있다는 것, 당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그의 마음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모두를 알아차릴 수 있었습니다.
그의 마음은 부드러워지고 동료의 존재가 깊어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모두 들어줄 수는 없지만 그의 바램이 있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었습니다.
대화는 더 편안하고 협력적이었고 다시 동료를 만났을 때 마음의 동요 없이 함께 말했던 순간에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었습니다.
누군가가 당신의 말에 관심을 갖고 함께 그 순간 이야기 한다는 느낌은 정말 중요한 경험입니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말을 진정으로 듣지 않고 살아갑니다. 서로가 마음으로 진정 귀를 기울여 듣고자 한다면 우리는 타고난 창의성과 지성, 유머를 잃지 않고 자발적인 방식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의 말에 경청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당신이 주변인들과 서로의 말에 경청하며 살아간다면 그 관계는 이해와 신뢰, 사랑이 깊은 관계로 발전할 것입니다.

마음챙김 스크립트
이제 시간을 내어 편안하게 앉아주시기 바랍니다.
호흡하며 당신의 몸을 잠시 스캔해 보시기 바랍니다. 발과 허벅지, 땅에 닿아있는 엉덩이, 장기를 받쳐주고 있는 골반과 이어진 다리, 길게 뻗어있는 척추 마디마디를 지나 목과 어깨, 그리고 양 팔과 손, 하늘을 향해 들어올린 머리과 얼굴의 표정까지..... 그 어느 곳에 명백한 긴장감이 느껴지는 곳이 있었다면 호흡하며 그곳에 부드러운 주의를 가져가 보시기 바랍니다.
부드럽게 호흡하며 그 곳의 긴장감을 모두 비워줍니다.
자연스러운 풀어짐, 놓아줌이 있음을 알아차립니다.
자 이제 당신 주변 공간으로 주의를 옮겨봅니다. 주변의 소리가 어떤지 주목해봅니다.
당신에게 들려오는 그 소리를 느껴봅니다. 귀 뿐만이 아니라 전체 인식을 통해 소리의 변화, 그 진동을 느낄 수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지금 주변을 느끼고 있는 온 몸의 열림과 생동감을 느껴봅니다.
모든 감각이 활짝 열려 몸과 마음이 휴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더 열정적으로 듣고 싶은 것을 마음에 떠올립니다. 어떤 사람, 대화했던 상황을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자 이제.... 당신의 의도가 무엇인지 스스로에게 물어봅니다.
수용적인 마음의 말을 듣고자하는 진심어린 소원을 느껴봅니다.
어떤이는 호흡, 신체의 감각을 느끼며 자신의 존재감을 더 깊이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그 사람이 말을 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당신은 그 곁에서 그의 말을 듣고 있습니다.
주의를 기울여 그에게 온전한 관심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느껴봅니다.
당신은 경청하며 연결되는 부드러운 공간의 선물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1분 정도 호흡을 닻으로 삼아 호흡합니다.
일어나는 모든 일, 강한 느낌이나 소리가 당신의 주의를 끌 때 개방적이고 수용적으로 듣는 이 연습을 통해 당신은 주변인들과의 대화에서 더 신중하게 듣는 것이 가능해 질 것입니다.
수행을 하며 인내심을 갖고 자신을 관찰해 본다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공감적 대화를 하는데 있어서 스스로를 방해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며 당신은 어떤 대화에서도 진실되고 개방적이고 활기차게 변화되고 있음을 인식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또한 이런 것도 물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내 주변 사람 중에 더 많이 주의를 기울여 경청해야 하는 누군가가 있습니까? 그러한 사람이 떠오른다면 그 사람과의 대화에서 보다 참여적으로 하기 위해 온전한 주의를 기울일 의도를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온전한 주의를 기울여 열린 마음으로 경청하십시오.